https://www.tortoisemedia.com/data/global-ai
The Global AI Index
Data | Global AI Index The Global AI Index The first index to benchmark nations on their level of investment, innovation and implemen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king sense of artificial intelligence…on a global sca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www.tortoisemedia.com

AI와 관련된 2024년 기준 자료입니다. 한국을 기준으로 보면 Development가 무려 3위입니다. AI기술 자체는 미국, 중국 다음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정부지원도 4위입니다. 이미 우리나라 AI기업과 연구소는 정부지원을 충분히 받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약점을 보겠습니다. 운영 환경이 35위입니다. 이것은 AI관련 기술을 민간, 공공 부문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뜻입니다. 단순히 AI만 볼 것이 아니고, 구글맵, 우버 사태, 트위치 퇴출 등 다양한 맥락에서 보면 AI 관련 기술을 국내에 적용할때 다양한 마찰이 생길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잘 보면 아시아 계열이 등급이 좀 낮은것을 볼 수 있습니다.
AI이론에 관한 순위(Research)는 13위로, 다른 국가에 비해 경쟁력이 있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이것이 우리나라 AI의 현 주소입니다. 이처럼 높은 개발 역량에도 불구하고 취약한 운영 환경과 연구 기반은 결국 해외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높일 수밖에 없습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데이터부터 서버까지 우리가 통제하는 '소버린 AI'의 중요성이 대두됩니다.
그런데, 더 강력한 AI인 chatgpt나 gemini가 있는데, 왜 소버린 AI가 필요할까요? 일단 안보문제 때문입니다.
미래에는 데이터가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개개인의 데이터는 하잘것 없지만, 데이터가 쌓이다보면 그 국민의 경향을 알게 됩니다. 지금 대한민국 사람들의 머리속에 뿌리박힌 생각들을 생각해 봅시다. 부정적인 것만 적어보면 남녀차별, 탄핵, 국민연금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이 부정적인 키워드들을 바탕으로 사람들을 선동하는 봇을 만들면 국민들의 생각을 의도대로 조종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정책에 대한 반대 여론을 키우기 위해 AI 봇이 수십 개의 다른 아이디로 관련 기사마다 '이 정책 때문에 내 노후가 불안하다'는 식의 댓글을 동시다발적으로 생성하고, 서로 '좋아요'를 눌러주며 베스트 댓글로 만드는 식입니다. 그러면 국민들은 이것이 조작된 여론이 아닌 다수의 실제 생각이라 믿고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되며, 안보가 위험해집니다.
나는 봇에게 속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은 어떤 글을 읽었을때 그 글이 봇이 쓴 글이 아니라고 확신할 수 있을까요? 예전에는 확신할 수 있었겠지만 지금으로써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사람들의 생각을 눈에 띄지 않게 유도하는 이러한 방법론을 밈공학이라고 합니다. 일단 가장 간단한 형태는 광고가 되겠습니다.
AI에 의한 밈 공학적 공격을 막기 위해서는 그에 대응하는 AI가 있어야합니다. AI가 100개, 1000개의 댓글을 달았을때 효과적으로 댓글을 지울 수 있어야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국도 AI를 독립적으로 만들고, 운영을 해야하는 것입니다.
그 외의 이유로는 외국산 AI는 데이터가 넘어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는 AI를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무기를 제작할때 AI를 쓴다면 훨씬 강력한 무기를 만들 수 있을텐데, 이를 활용하지 못한다면 국방력에서 차이가 나게 됩니다. 국민의 건강정보도 마찬가지입니다. 너도나도 gpt나 gemini에게 건강문제에 대한 상담을 받게 되면, 한국인의 신체 정보가 고스란히 외국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장기적으로 어떤일이 벌어질지는 더 말할 필요도 없겠습니다.
소버린 AI를 만드는 이유에 대해서는 납득이 가셨을 수 있겠습니다. 소버린 AI가 잘되기 위해서는 당장은 잘 안되더라도 국산 AI를 믿고 사용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AI는 사용하면 사용할 수록 더 많은 데이터가 쌓이고, 그 데이터는 AI개선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짧은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I시대, 무한한 잠재력과 양날의 검 (0) | 2025.07.16 |
|---|---|
| 학생의 스마트 기기 사용을 막아야할까? (0) | 2025.07.12 |
| AI시대의 오타쿠 (0) | 2025.07.10 |
| 수행평가(과정형평가)에 대한 교육부의 탁상공론 비판 (0) | 2025.07.06 |
| AI로 쓰는 생활기록부에 대한 고찰 (0)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