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이전트 'Manus' 사용 후기: Gemini CLI 보고서, 자동으로 만들어줄까?
최근 LLM(거대 언어 모델)은 단순한 챗봇을 넘어, 우리의 지시를 받아 복잡한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AI 에이전트'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 하나인 'Manus'라는 서비스를 직접 사용해 본 후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과연 Manus가 웹 검색부터 보고서 작성까지, 얼마나 똑똑하게 처리하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Manus란? 범용 AI 에이전트 소개
Manus는 "당신의 생각을 행동으로 바꾸는 범용 AI 에이전트"를 표방하는 서비스입니다. 단순히 대화만 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스스로 웹 브라우저를 조작하여 정보를 찾거나 파일을 생성하는 등 구체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
공식 홈페이지는 아래 링크를 통해 방문할 수 있습니다.
manus는 처음 출시되었을 당시, 딥식과 함께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당시에는 manus 초대권을 얻는것은 꽤나 힘든일이었습니다.
Manus
Manus は、あなたの考えを行動に変える汎用AIエージェントです。仕事や生活のさまざまなタスクを得意とし、あなたが休んでいる間にすべてを処理します。
manus.im
2. 주요 특징 살펴보기
2.1. 크레딧 시스템과 비용
Manus는 AI가 작업한 시간만큼 크레딧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처음 가입하면 체험용으로 1,800 크레딧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Manus 크레딧 정보
- 무료 제공: 신규 가입 시 1,500+300 크레딧 지급. 매일 1500크레딧은 소모하면 영구적으로 줄어들고, 300크레딧은 매일 추가로 제공합니다.
- 소모량 예시: 간단한 보고서 1장 작성에 약 200 크레딧 소모
무료 크레딧으로도 여러 기능을 충분히 테스트해 볼 수 있는 양입니다.
2.2. 친숙한 채팅 기반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는 ChatGPT나 Gemini처럼 대화형 UI를 채택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작업하고 싶은 내용을 채팅창에 입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3. 실제 사용기: Gemini CLI 연동 보고서 작성
Manus의 실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조금 복잡한 기술 주제에 대한 조사를 요청해 보았습니다.
> 제가 입력한 요청:
최근에 gemini cli라는 것이 만들어졌는데, google cli와 연동할 수 있는 mcp를 검색을 통해 조사하고, 보고서를 작성해줘.
요청을 입력하자, Manus는 스스로 작업 계획을 세우고 웹 브라우저를 열어 관련 정보를 검색하기 시작했습니다.
잠시 후, 조사를 마친 Manus는 결과물을 PDF 파일로 생성해주었습니다.
보고서의 퀄리티는 핵심 정보를 요약해주는 '딱 적당한 수준'이라고 느꼈습니다. 완벽한 논문 수준은 아니지만, 초기 자료 조사나 초안 작성용으로는 충분히 활용 가치가 있어 보입니다.
4. 결론: 어떤 사용자에게 유용할까?
Manus는 단순한 글쓰기나 보고서 작성 자동화를 넘어, 손이 많이 가는 반복적인 리서치나 프로그래밍 보조 작업에서 더 큰 가치를 발휘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분들에게 추천할 만합니다.
- 개발자: 새로운 라이브러리나 API 문서를 조사하고 예제 코드를 생성하는 작업
- 기획자/마케터: 특정 주제에 대한 시장 자료나 경쟁사 동향을 빠르게 수집하고 요약하는 작업
- 연구원/학생: 논문 초안 작성을 위한 초기 자료 조사를 자동화하는 작업
AI 에이전트 기술이 어디까지 발전했는지 궁금하시다면, 무료 크레딧을 활용해 Manus를 직접 경험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생기부 상향 평준화 시대, 논문으로 격차 만들기 (1) | 2025.06.28 |
---|---|
Google AI Studio로 이미지를 한꺼번에 텍스트로 바꾸기 (0) | 2025.06.27 |
AI가 엑셀의 표를 잘못 읽는 문제 해결하기 (0) | 2025.06.27 |
p5.js 아르키메데스 나선 그리기 (1) | 2025.06.27 |
거스를 수 없는 물결: 교육과 AI (1)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