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문해력은 AI로 해결하자

Optimization
728x90

청소년의 문해력 논란은 잊을만하면 나타나는 떡밥입니다. 학생들의 문해력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고 그래도 인해 수업을 하는 선생님들이 곤란에 처한다는 이야기가 도돌이표 처럼 매년 나타납니다.

 

문해력이 낮다는 것은 글을 소리내어 읽어도 그 의미가 머리에 들어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문해력에 대한 제 생각을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약서, 영수증, 편지 등 문장의 의미를 꼼꼼히 파악해야하는 상황에서 문해력이 중요해집니다. 그리고 그 의미를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어야합니다. 계약서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실제로 수행해야하고, 반대상황에서는 다른 사람이 요구사항을 잘 이행하고 있는지 확인도 해야합니다. 영수증의 경우에는 내 의도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합니다. 편지에서는 상대방의 숨은 의도를 읽어낼 수 있어야합니다.

 

문해력이란 것은 근력이나 지구력 또는 아이큐 처럼 그 사람의 여러가지 문자생활을 예측하는 지표가 됩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 문해력은 더 이상 의미가 없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부터는 문해태도라고 불러야 할 것입니다. 문해태도라는 것은 글을 올바르게 읽기 위해 노력하려는 의지입니다. 문해력과 다르게 문해태도는 '의지'를 강조합니다.

 

문해력이 중요한 이유는 결국 더 나은 문자생활때문입니다. 문해력이 낮다해도 문자생활을 잘 영위할 수 있다면 문해력은 중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문해력이 낮은 성인이 복잡한 내용의 계약서를 읽는다고 가정합니다. 아무리 글을 읽어도 무엇을 해야하는지 알기 어려울 것입니다. 하지만 AI를 이용하면 무엇을 해야하는지 세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낮은 문해력을 AI가 보완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중요한 것은 결국 글을 읽으려는 의지입니다. 정말로 내가 글을 읽고자 한다면 얼마든지 읽을 수 있는 것입니다.

 

다만 AI가 대신 글을 읽어주는 것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환각문제가 있고, 사용자의 문해력이 더 퇴화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그렇기에 AI사용자는 AI가 뱉은 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환각문제를 해결하고, 문해력 퇴화를 막아야합니다. 그럼에도 문해력을 강조하기보다는 문해태도를 강조하는 것이 AI시대에 더 중요할 것 입니다.